산전관리
산전검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시기별로 어떤 검사를 할까?
임신 초기(1~14주)에 시행하는 검사
초음파 검사
- 태아의 정확한 주수를 알 수 있습니다.
- 5~6주부터 태아의 심장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기형아 검사
- 11~13주에 초음파를 통한 태아의 목덜미 두께와 혈액검사를 통해 기혈아 검사를 합니다. 만약 목덜미 두께가 3mm 이상이라면 융모막을 검사합니다.
임신 중기(15~28주)에 시행하는 검사
한 달에 한번 병원을 방문해 혈압, 체중, 체온을 체크하는데 이때 신체적, 감정적 변화에 대해 의료진과 상의할 수 있도록 미리 적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초음파 검사
-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태아의 위치, 체중, 양수량, 태반의 위치 등을 파악합니다.
- 20~22주에 정밀 초음파를 통해 태아의 기형 여부를 파악합니다. 여기에서 이상을 발견하면 양수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기형아 검사
- 15~20주에 신경관 결손, 다운증후군, 에드워드증후군 등을 혈액검사로 진단합니다.
임신성 당뇨검사
- 24~28주에 혈액검사를 합니다.
- 당뇨 가족력이나 이전 임신 시 임신성 당뇨병 병력이 있다면 더 이른 시기에 검사를 합니다.
태아 안녕 평가(태동검사)
- 대부분 특별한 이상이 없을 때는 임신 후기에 시행하나 중증근무력증, 척수손상, 전신홍반추푸스가 있거나 만성 질환이 있는 산모의 경우는 조산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임신 중기부터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 검사
- 전신홍반루푸스 등 자가면역질환을 앓는 산모의 경우 단백뇨 여부와 신장 기능 평가를 위해 소변 및 혈액검사를 실시합니다.
임신 중기(15~28주)에 시행하는 검사
36주까지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2주마다 그 후에는 매주 방문합니다. 35~37주에는 GBS(B군 연쇄상구균) 검사를 시행합니다. 37주 이후에는 내진을 해 골반 상태를 파악합니다.
초음파 검사
-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태아의 성장을 파악하고 활동성을 살펴봅니다.
태아 안녕 평가
- 비수축검사 또는 태동검사라고 부르며 태아의 움직임이 활발한지, 심장 박동 수가 정상인지 확인해 이상 여부를 가늠하는 검사입니다.
장애 친화 산부인과
장애 친화, 장애 거점 산부인과란 장애인 진료에 적합한 의료장비 및 편의 시설을 구비하고, 장애 이해 교육을 이수한 의료진을 갖춘 산부인과로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자체 사업으로 지정·운영하고 있습니다.
경남
- 진주고려병원(지정연도 : 2013 /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4)
광주
- 미즈피아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 17)
- 빛고을여성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395)
대전
- 대전성모병원(지정연도 : 2019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로 64)
전남
- 목포미즈아이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전라남도 목포시 백년대로 418)
- 현대여성아동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장선배기 1길)
- 전라남도 강진의료원(지정연도 : 2017 / 소재지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탐진로 5)
- 한마음의료재단 여수제일병원(지정연도 : 2017 / 소재지 : 전라남도 여수시 쌍봉로 70)
전북
- 전북대학교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 20)
- 예수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65)
- 미르피아여성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343)
- 한나여성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489)
- 한별여성병원(지정연도 : 2016 /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견훤로 215)
출처 :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과
본문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