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너비 1180px 이상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

2021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 등록자 :관리자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21-07-26

2021년 2분기「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 우울, 자살생각 등 정신건강 지표 다소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 -

- 6월 조사 시 일상 복귀 기대감이 영향 미쳐, 7월 방역상황 변화에 따른 심리지원 강화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민 정신건강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수행)」를 실시하고 2021년 2분기 결과를 발표하였다.

- 본 조사는 국민 정신건강 상태 파악을 통해 국민에게 필요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심리지원 대책의 일환으로 2020년부터 분기별로 실시해 오고 있다.

2분기 조사 결과 우울위험군(3월 22.8%→ 6월 18.1%), 자살생각 비율(3월 16.3%→ 6월 12.4%) 등이 감소하여, 전 분기 대비 정신건강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 시기(6.15.~25.)의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400명대로 코로나19 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백신 접종 확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발표 등에 따라 일상복귀 기대감이 국민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여전히 우울, 자살생각 비율이 높은 수준이며, 7월에 거리두기 강화 등 방역상황 변화에 따라, 심리지원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1) (우울)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 여성, 젊은 층에서 높게 나타나

- 우울 평균점수는 5.0점(총점 27점)으로, 3월 조사 결과(5.7점)에 비해 감소하였고, 우울 위험군(총점 27점 중 10점 이상) 비율도 18.1%로 3월 조사 22.8%에 비해 4.7%p 감소하여, 코로나19 발생 초기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 그러나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우울 2.1점, 우울위험군 3.2%, 2019지역사회건강조사)에 비해서는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 (연령별) 20대, 30대가 우울 평균 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울 평균점수의 경우 30대는 2020년 첫 번째 조사(5.9점)부터 꾸준히 높게 나타났으며, 20대는 조사 초기(2020년 3월 4.6점)에는 가장 낮았으나 급격하게 증가하여 최근 조사에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성별) 우울 점수(남성 4.7점, 여성 5.3점)와 우울 위험군(남성 17.2%, 여성 18.9%)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울 점수는 20대 여성이 5.9점으로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았고, 우울 위험군 비율은 20대 남성이 25.5%, 30대 남성이 24.9%순으로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2) (자살생각)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 남성, 젊은 층에서 높게 나타나

- 2021년 6월 자살생각 비율은 12.4%로 3월 조사 결과인 16.3%에 비해 3.9%p 감소하였다. 다만, 2019년 4.6%(2021 자살예방백서)의 약 2.5배 수준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연령별) 우울 분야와 마찬가지로 20대와 30대가 17.5%, 14.7%로 가장 높았고, 50대는 9.3%, 60대는 8.2%로 나타났다.

- (성별) 자살생각은 남성이 13.8%로 여성 11.0%보다 높았다. 특히 20대 남성과 30대 남성은 각각 20.8%, 17.4%로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20대 여성이 14.0%로 뒤를 이었다.

 (3)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불안) 지속 감소 추세

-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평균 1.6점(3점 기준)으로, 지난 조사결과 대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 (불안) 평균 3.9점(총 21점)으로 나타났으며, 3월 조사 4.6점에 비해 0.7점 감소하였으며,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과 마찬가지로, 지난해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 (일상생활 방해 정도) 총 10점 중 5.1점으로, 지난 3월 조사(4.4점) 결과보다는 상승하였으나, 코로나19 발생 초기(5.6점)에 비해서는 낮아진 수치이다.

 (4) 심리적지지 제공자, 필요한 서비스 등

- (심리적지지 제공자) 가족이 64.2%로 가장 많았으며,  친구 및 직장동료가 21.3%,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8.4%로 나타났다.

- (연령별) 20대, 30대는 가족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41.5%, 61.2%로 전체 평균 (64.2%) 및 다른 연령대(40대 70.8%, 50대 72.6%, 60대 71.3%)에 비해 낮았다.

- 심리적 어려움을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람이 없다고 대답한 비율은 정신건강 고위험군이 높게 나타난 30대, 20대에서 각각 12.6%, 11.1% 순으로 다른 연령대(40대 6.0%, 50대 5.6%, 60대 7.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성별) 가족이라고 응답한 사람 중, 남성은 65.7%, 여성은 62.7%이고 도움이 되는 사람이 없다고 답한 경우 남성은 8.4%, 여성은 8.3%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 (필요 서비스) 감염병 관련 정보(87.6%), 경제적 지원(77.5%), 개인 위행물품(77.5%) 지원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 심리상담 등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도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7월 코로나 재확산에 따라 확진자 수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라 심리방역이 더욱 중요해진 상황으로 건강한 일상 복귀를 위해 전 국민 심리지원을 한층 강화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지난해 1월부터 통합심리지원단을 운영하고, 관계부처 합동 심리지원 대책('21.8월, '21.2월)을 마련하여 심리지원을 하고 있으며, 관계부처·시도 코로나 우울 협의체 운영을 통해 관계부처, 지자체와 함께 확진자, 격리자, 대응인력 및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실시한다.

- 지자체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해 청년·여성·대응인력 등 대상별 코로나 우울 예방 프로그램 운영을 활성화하고, 심리상담 핫라인(1577-0199), 모바일 앱 등 비대면 심리지원과 마음안심버스 등을 활용한 찾아가는 심리지원을 강화한다.

- 특히 지난 6월 30일 5개 국립병원 내 권역별 트라우마센터 출범으로 확진자 등 정신건강 고위험군 대상으로 선제적 심리지원을 강화하고, 코로나19 등 감염병·사회 재난 시 국민의 마음건강을 체계적·전문적으로 심리지원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보건복지부 염민섭 정신건강정택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이 종식되면 국민들의 마음건강이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정신건강 수준이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다." 라면서

- "7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심리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전문가들도 재난 발생 2~3년 후 자살 증가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어, 국민 마음건강 회복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촘촘하게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