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자료
국립재활원 주거개선 지원사업
- 등록자 :관리자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21-01-07
[국립재활원 주거개선 지원사업]
뚝딱! 편안한 집 행복한 집, 중도장애인 주거개선지원 사례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에도 불구하고 불의의 사고와 질병은 존재하며, 이로 인한 장애 역시 우리 사회가 안아야할 숙제입니다.
국립재활원에서는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 각종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중도장애 환자들의 재활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퇴원 이후 가정과 사회에 잘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립재활원에서 성공적인 재활치료를 마치고도 열악한 주거환경 때문에 안정적인 사회복귀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립재활원에서는 저소득 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거개선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립재활원은 환자의 경제적 여건과 주거환경 개선 필요 정도를 심의하여 사회복지사와 작업치료사, 시공업체가 함께 세밀한 사전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총 일곱 가구가 선정되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공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외출은 물론 실내생활조차 불편했던 공간, 주거개선을 통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볼까요?
휠체어를 항상 이용해야 하는 임영현(가명)씨를 위해 문턱을 깎고 나무단을 설치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건물 밖으로의 이동을 위한 이동식 경사로도 두었습니다.
우측 편마비를 갖고 있는 강현범(가명)씨를 위해 계단과 실내에 안전손잡이를 달아 낙상의 위험을 줄였습니다. 옥상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져 운동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내에서 앉은 채로 이동하는 신창선(가명)씨의 집에는 화장실의 높은 턱을 제거하고 안전손잡이를 설치해 누구의 도움 없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뇌병변장애를 겪는 서현국(가명)씨의 집에는 좁고 불편했던 화장실 대신 창고로 쓰던 넓은 공간을 화장실로 개조하였습니다. 높은 변기를 설치해 사용이 편리해졌습니다.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전성권(가명)씨 집의 높은 계단을 넓고 낮은 계단으로 바꾸고 안전하게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난간도 설치했습니다. 현관에는 안전손잡이를 이중으로 설치해 이동할 때뿐만 아니라 운동기구로도 활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진정한 사회복귀란 무엇일까요? 국립재활원은 오랜 기간 중증장애인의 재활치료 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로의 성공적인 복귀를 위해 힘써왔습니다. 누구에게나 가장 편안해야할 공간인 집을 다시 찾는 것. 외출이 두렵지 않게 되는 것. 그것이야말로 국립재활원이 목표로 하는 진정한 의미의 사회복귀입니다.
뚝딱! 편안한 집 행복한 집, 중도장애인 주거개선지원 사례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에도 불구하고 불의의 사고와 질병은 존재하며, 이로 인한 장애 역시 우리 사회가 안아야할 숙제입니다.
국립재활원에서는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 각종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중도장애 환자들의 재활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퇴원 이후 가정과 사회에 잘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립재활원에서 성공적인 재활치료를 마치고도 열악한 주거환경 때문에 안정적인 사회복귀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립재활원에서는 저소득 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거개선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립재활원은 환자의 경제적 여건과 주거환경 개선 필요 정도를 심의하여 사회복지사와 작업치료사, 시공업체가 함께 세밀한 사전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총 일곱 가구가 선정되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공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외출은 물론 실내생활조차 불편했던 공간, 주거개선을 통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볼까요?
휠체어를 항상 이용해야 하는 임영현(가명)씨를 위해 문턱을 깎고 나무단을 설치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건물 밖으로의 이동을 위한 이동식 경사로도 두었습니다.
우측 편마비를 갖고 있는 강현범(가명)씨를 위해 계단과 실내에 안전손잡이를 달아 낙상의 위험을 줄였습니다. 옥상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져 운동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내에서 앉은 채로 이동하는 신창선(가명)씨의 집에는 화장실의 높은 턱을 제거하고 안전손잡이를 설치해 누구의 도움 없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뇌병변장애를 겪는 서현국(가명)씨의 집에는 좁고 불편했던 화장실 대신 창고로 쓰던 넓은 공간을 화장실로 개조하였습니다. 높은 변기를 설치해 사용이 편리해졌습니다.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전성권(가명)씨 집의 높은 계단을 넓고 낮은 계단으로 바꾸고 안전하게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난간도 설치했습니다. 현관에는 안전손잡이를 이중으로 설치해 이동할 때뿐만 아니라 운동기구로도 활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진정한 사회복귀란 무엇일까요? 국립재활원은 오랜 기간 중증장애인의 재활치료 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로의 성공적인 복귀를 위해 힘써왔습니다. 누구에게나 가장 편안해야할 공간인 집을 다시 찾는 것. 외출이 두렵지 않게 되는 것. 그것이야말로 국립재활원이 목표로 하는 진정한 의미의 사회복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