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소개
소아재활이란?(Pediatric Rehabilitation)
소아재활이란 성장과 발달이 완성되지 못한 어린시기에 질환, 혹은 사고로 인한 장애를 갖거나 장애의 위험성이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장애를 최소화 하고 연령에 맞는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문이다. 재활의학과(소아재활)에서 치료하는 질환들은 뇌성마비(Cerebral Palsy), 척수이형성(Myelodysplasia), 근육이양증 (Muscular Dystrophy), 외상성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발달지연, 기타 신경학적, 정형외과적 문제들이다.
치료내용
물리치료
소아의 정상적인 움직임 및 자세를 경험하게 하여 대근육 활동의 기능 증진을 도모합니다.
- 신경발달 치료법: 비정상적으로 항진된 긴장도와 원시반사로 인해 비정상적인 자세와 운동패턴이 발생하므로 이를 조절하고 정상적인 운동과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법이다.
- 근력강화운동: 저항, 기구, 체중을 이용하여 근섬유의 크기와 대사능력을 증가시키고, 근육의 기능(근력,지구력, 운동 조절, 관절가동범위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 신장운동(stretching): 근육의 단축과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이 있는 소아에 대해 실시하는 운동이며, 초음파(심부투열치료)와 함께 인대와 근육의 신장을 통해 정상관절가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시행한다.
- 기립훈련기(Standing frame): 서는 경험을 제공해 주고, 하지 근긴장도의 증가와 운동 감각 증진, 관절 구축 및 변형 방지, 기립성 저혈압 방지, 욕창 방지, 골다공증 방지, 요로 감염 방지, 전신 순환증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모토메드(motomed): 운동기능장애를 가진 소아에게 수동운동 또는 능동운동을 통해 신체 하부를 골고루 운동시켜주는 재활 장비이다. 근육의 강직을 완화하고 약한 뼈의 골절, 인대 및 건의 손상을 예방해주는 기능이 있다.
- 부분 체중부하 트레드밀 훈련: 보행능력을 증진시키고 정상적인 보행패턴을 향상시키는 재활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사용목적은 하지근력 및 지구력, 심폐지구력 증진에 도움 될 수 있다.
- 아델리슈트(Adeli suit): 본래 우주 비행사의 근위축 방지를 위한 훈련복으로 개발되었지만, 뇌성마비, 발달지연, 외상성 뇌손상등이 있는 아동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알려져 있다. 슈트의 장점은 체간 정렬을 바르게 맞추고 적절한 압력을 제공하여 신체인식, 근력강화, 균형훈련을 증진시킨다.
- 수치료 : 소아들의 수중 활동을 통한 신체 활력과 근력 증진, 관절가동범위 증진과 강직에 대한 이완, 통증 조절 및 정서적 안정감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이다.
소아집중물리치료
조산아 및 유전 질환, 희귀-난치성질환 등 고위험군 아동에게 적시에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맞춤형 운동치료를 제공하여, 아동의 발달 및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소아로봇보조치료
뇌성마비, 소아 척수손상, 발달지연, 뇌손상 환자 등 장애아동에게 정확한 보행동작을 효과적, 반복적으로 훈련하기 위한 치료입니다.
- 로봇보조 보행훈련 : 환자의 보행 단계별 하지의 관절각도 범위 및 체중지지정도, 보행 속도 및 보행 거리를 분석하여 필요한 체중지지 및 보행의 도움(guidance force ) 정도 등을 보행로봇을 이용하여 훈련합니다. 또한 가상현실프로그램( augment feedback program)을 이용하여 환자의 적극적인 훈련참여 및 동기 부여를 유도하여 운동학습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작업치료
소아의 발달단계에 따라 필요한 시지각능력과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 상지 및 수부기능 등 을 다양한 치료활동을 통하여 획득하도록 도와준다.
- 기능적 작업치료 : 항진된 근긴장도 및 근력 약화로 저하된 상지 및 수부의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지강제유도운동치료법(CIMT) 등 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 치료이다.
- 일상생활동작훈련 : 소아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하게 제작된 주방, 화장실 등이 있는 일상생활동작 훈련실에서 발달단계에 따른 일상생활동작훈련을 시행합니다.
- 연하재활치료
- 구강운동촉진법 : 입술, 혀, 턱관절의 움직임 향상을 위한 치료활동과 구강감각향상을 위한 감각자극 등을 제공하여 연하기능 촉진 및 증진시키는 치료이다.
- 전기자극치료법: 인후두부위의 연하장애가 있을시 전기자극(제품명: vitalstim)을 이용하여 인후두 기능을 강화 시키는 치료이다.
- 감각통합치료 : 감각의 조절과 통합의 어려움으로 감각방어, 양측통합과 순서장애, 자세결핍 등이 있는 아동들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여 기능향상을 도모하는 치료이다.
소아 인지 및 심리치료
아동의 인지 발달 지연 또는 심리적인 어려움을 평가하여 원인 분석과 함께 적절한 인지 및 심리 치료를 제공함으로 인지 발달 향상 및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하는 치료이다.
- 검사항목(소아의 상태에 따라 선택되어 평가된다.)
- 한국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K-BSID-Ⅲ)
-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BC)
- 유아용 지능검사(K-WPPSI-Ⅳ)
- 그림 지능검사(PTI)
- 아동용 지능검사(K-WISC-Ⅳ)
- 시각 운동 통합 발달검사(VMI)
-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 유아·아동·청소년 행동평정척도(CBCL 1.5-5 & 6-18)
- 우울증 검사(CDI & BDI-Ⅱ)
- 소아 인지치료: 인지발달 지연, 주의력 결핍, 학습 장애 아동의 인지 발달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여 이에 맞는 오감각 자극 훈련, 지각 훈련, 주의력 훈련, 기억력 훈련, 사물 인지 및 개념 훈련, 수 개념 및 연산 능력 향상을 통해 인지 발달을 돕고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준다.
- 전산화 인지치료: 컴퓨터 인지프로그램인(제품명: Rehacom & CoTrac-C)을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의 흥미유도와 함께 주의력, 집중력 훈련부터 상위 개념의 기억력, 실행능력까지 체계적이고 단계화된 치료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인지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 심리치료: 장애아동의 심리와 정신건강, 정서 장애 등을 평가하여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맞는 놀이 및 심리치료를 제공하여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가정 및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행동치료: 발달지연 아동, 정신지체 아동 등에서 관찰할 수 있는 문제 행동(예: 물건 입에 넣기, 손 빨기, 짜증내기, 자해행동, 공격행동, 분노 폭발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원인 및 해결방안을 찾는 치료이다.
- 스누젤렌 치료(Snozelen therapy): 특별히 고안된 치료실에서 조절된 조명, 아로마향, 이완음악을 이용하여 빛, 소리, 후각, 촉각 자극 등 다양한 감각을 환자에게 제공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거나 지각을 일깨워 인지적 활동을 촉진하는 치료이다.
언어치료
언어발달 지연, 습득된 언어능력의 소실, 부정확한 발음, 말더듬기 증상이 보일 때 이에 맞는 호흡-발성 훈련, 조음훈련, 언어훈련 등을 실시하여 언어능력 및 의사소통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검사항목(소아의 상태에 따라 선택되어 평가한다)
- 영유아언어발달검사(SELSI)
-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
- 영유아 이해 및 표현 어휘 검사(MCDI-K)
-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REVT)
- 구문의미이해력검사(KOSECT)
- 언어문제해결력검사
- 아동용 발음 평가(APAC)
- 유창성 검사(P-FA)
-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선별 검사(OSMSE-R)
- 언어 훈련: 아동들에게 상황에 맞는 적절하고 다양한 언어적 자극(그림카드, 실물, 대화상황 및 보호 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치료사의 개입 등)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어휘 및 구문 표현을 도모한다.
- 조음 훈련: 정확한 조음(발음)을 위해 적절히 협응되어야 하는 구강구조(입술, 혀, 턱 등)의 근육 약 화 및 정확성 저하등을 다양한 방법(구강마사지, 근육 훈련, 조음방법 지시 등)으로 훈련시 켜 아동의 발음 표현의 정확성을 도모시킨다.
-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보완대체의사소통) 훈련: 표현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아동으로 실생활에서 부모님을 비롯한 보호자, 선생님, 친구 등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다양한 기기(고토크, 다이나박스, 오케이톡톡, 유비큐, 리틀맥, 빅맥)를 활용한 언어치료를 통해 의사소통의 기회를 증진한다.
보조기치료
소아의 보조기는 기능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 상지보조기: 어깨보조기, 주관절보조기, 손과 손목 보조기 등을 처방하여 상지기능 향상 및 변형예방이 가능하다.
- 하지보조기: 무릎보조기, 단하지보조기 등을 처방하여 보행기능을 보조 및 변형예방이 가능하다.
- 자세보조용구: 몰딩형, 모듈라 형의 자세보조용구를 처방하여 앉기자세 보조와 함께 근골격계 진행 및 변형예방이 가능하다.
- 기타: 휠체어, 척추보조기, 맞춤형 신발(orthopedic shoes) 처방 가능하다.
소아입원재활 프로그램
소아환자들의 포괄적이고 집중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소아병실 운영을 통해 입원과 낮병동 집중 재활 프로그램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입원병상 : 24시간 입원치료 프로그램
- 낮병동 : 최소 6 시간이상 입원치료 프로그램
- 희귀난치성질환 병상: 신경근육계질환 등의 희귀난치성 질환 중 재활 의학적 서비스가 필요한 환자 군을 대상으로 하는 입원치료프로그램
- 의료서비스 : 경직완화를 위한 주사치료(신경차단술, 보툴리눔 독소 운동점차단술), 영양상태 평가 및 중재, 소아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
- 신경근전도 검사 재활치료: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지도감독하에 환자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인지행동치료사 , 로봇치료사 등과 함께 팀 접근법을 사용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치료 시행
- 사회사업: 사회사업 상담을 통해 필요한 정보제공 및 사회, 의료복지서비스 제공
- 보호자 교육: 의료진과 치료사가 직접 환자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필요한 의료정보 및 운동요법을 주기적으로 시행
- 그룹 활동: 음악치료, 원예치료, 미술치료, 공예활동 등을 통해 환자에게 여러 활동을 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환자와 보호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
소아 앉은 자세 클리닉
소아에서 앉기 기능은 주변 환경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와의 소통의 기회로 많은 시지각 자극들이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바른 앉기 자세를 위해 의료진을 포함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함께 제작 전부터 검수단계까지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팀이 구성되어 있다 .
- 대상: 외래(매주 금요일 오전)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혼자 앉기 어렵고 척추측만증, 고관절 탈구 등의 변형이 있거나 위험성이 있는 소아
- 검사: 이학적 검사, x-ray 촬영, 둔부압력검사 등
- 처방: 필요한 휠체어 및 자세보조용구
- 검수: 필요시 이학적 검사, x-ray 촬영, 둔부압력 검사 등을 시행하여 올바른 제작 여부를 검수 확인